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pc/planet/mdi/img-es-panel-bg-01.jpg)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mo/planet/mdi/img-es-panel-bg-01.jpg)
세계 최대
ICT 제조 기업 중
하나인
삼성전자의 탄소중립 도전
삼성전자가 줄이면, ICT 산업의 많은 영역에서
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027년 - 해외사업장*, DX부문 재생에너지 100% 전환 추진 *DX·DS 부문 / 2030년 - DX부문 탄소중립 달성 목표(Scope 1·2), 7대 제품 대표 모델1), 전력소비량 평균 30% 개선 추진2) / 2050년 - 전사 재생에너지 100% 전환, 전사 탄소중립 달성 목표(Scope 1·2)
2023년 성과
- 공정가스 처리시설 확대, 공정 설비 최적화 등을 통해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(Scope 1) 전년비 224만톤(37.5%) 감축
- 글로벌 제조 사업장 재생에너지 사용량 9,289GWh, 전환율 31% 달성 (DX부문 93.4%, DS부문 24.3%)
- 미국, 유럽, 중국, 베트남, 인도, 브라질 100% 재생에너지 전환 달성
- 미국, 중국, 인도 사업장 PPA(재생에너지 공급 계약) 재생 전력 조달 및 한국 사업장 신규 계약 체결
- 7대 제품 대표모델1)에 에너지 고효율 기술 적용으로 2019년 대비 25% 개선2)
1) 대표 제품군(2023년 모델): 냉장고(RF85C9241AP), 에어컨(AR10DYEAAWK/ST), 세탁기(WF25CB8795BK), TV(KQ75QNC900FXKR), 모니터(LS49AG950NKXKR), PC(NP960XFG), 스마트폰(SM-S918)
2) 2019년 동일 성능∙스펙 대비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pc/planet/mdi/img-es-panel-bg-02.jpg)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mo/planet/mdi/img-es-panel-bg-02.jpg)
원료부터 폐기까지
제품 전 생애주기
자원순환 극대화
구매부터 폐기까지 자원순환의 고리(loop)로 연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.
2022년 - 소재 재활용 기술을 연구하는 순환경제연구소 설립 / 2030년 - DX 제품 플라스틱 부품1)의 50%2)에 재활용 플라스틱3) 적용, 글로벌 전 판매국가 e-waste 수거체제 운영, 누적 1,000만톤4) 수거 계획 / 2050년 - DX 제품 모든2) 플라스틱 부품1)에 재활용 플라스틱3) 적용, 누적 2,500만 톤4) e-waste 수거 계획
2023년 성과
- 재생레진 적용 플라스틱 사용량 157,939톤, 적용률 25% 달성
- 2023년 e-waste 59.9만 톤 수거(2009~2023년 누적: 629.7만 톤)
- 순환경제연구소, r-ABS(당사 제품 설치 후 발생하는 폐스티로폼 재활용),
r-PP(생활용품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재활용) 소재 개발
1) 당사가 개발한 플라스틱 부품
2) 부품 중량 기준 재활용 플라스틱 포함 비율
3) 순수 재활용 원료 함유율은 부품별로 상이
4) 2009년부터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pc/planet/mdi/img-es-panel-bg-03.jpg)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mo/planet/mdi/img-es-panel-bg-03.jpg)
탄소 잡고
미세먼지 줄이는
삼성의 도전
열린 자세로 협력하며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.
상생펀드 활용 협력회사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환경자원 투자 지원 / 2030년 - 반도체 사업장에 맞는 친환경 탄소포집기술 개발, 미세먼지 저감기술 활용 확대 *국내 사업장, 협력회사 등 / 2030년 이후 - 반도체 제조시설에 탄소포집 기술 적용(2050년 탄소중립 기여)
2023년 성과
- SAIT(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) 내 탄소포집연구소와 미세먼지연구소를 ASRC(Air Science Research Center)로 통합
- 고효율 탄소포집 활용 기술(Carbon Capture & Utilization) R&D 진행 중이며, 신개념 미세먼지 제거 공기청정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업장의 건물 공조, 버스 터미널, 지하주차장과 협력회사 테스트룸, 사무실 내 시범 적용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pc/planet/mdi/img-es-panel-bg-04.jpg)
![](/sec/sustainability/assets/img/mo/planet/mdi/img-es-panel-bg-04.jpg)
지구에 불필요한
영향을
최소한으로
물과 공기를 자연 상태 수준으로 배출합니다.
폐기물과 화학물질은 철저히 관리하고 최대한 재활용합니다.
2025년 - 글로벌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등급* 추진 *글로벌 환경안전 인증 기관인 UL(Underwriters Laboratories)이 발급하는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의 최고등급 / 2030년 - DX부문 글로벌 용수 사용량 100% 환원, DS부문 국내 사업장 취수량 증가 제로화* 목표 *2021년 대비,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등 / 2040년 - DS부문,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'자연상태*'로 처리하여 배출 * 방류수는 하천 상류 수준, 대기는 국가 목표 수준의 깨끗한 공기로 처리하여 배출
2025년 - 글로벌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등급* 추진 *글로벌 환경안전 인증 기관인 UL(Underwriters Laboratories)이 발급하는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의 최고등급 / 2030년 - DX부문 글로벌 용수 사용량 100% 환원, DS부문 국내 사업장 취수량 증가 제로화* *2021년 대비,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등 / 2040년 - DS부문,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'자연상태*'로 처리하여 배출 * 방류수는 하천 상류 수준, 대기는 국가 목표 수준의 깨끗한 공기로 처리하여 배출
2023년 성과
- DX부문 14개, DS부문 7개 글로벌 사업장에서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등급 취득 (누적, 2024년 3월 기준)
- 국내 수원, 구미, 광주, 기흥·화성, 평택 사업장 및 SCS(중국 시안) 사업장 AWS(국제수자원관리동맹) 최고등급 인증획득 (2024년 3월 기준)
-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절관리제 자발적 업무협약 체결
- DX부문 국내 수자원 환원 시범사업 3건 추진, 공공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협업